top of page

MECHATROLINK

분산 제어 시스템은 다양한 특성을 갖추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구성 요소의 적절한 부하(load) 균형, 실시간(Realtime)성을 요구하는 작업의 처리(Task-Processing), 제어 기기 간의 실시간 연계 제어, 계산 요구에 대한 빠른 응답(Fastest Response), 고장에 대한 신속한 처리 및 허용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비용 및 성능 간에 만족할 만한 균형을 얻기 위해 분산 제어 시스템은 각각의 응용에 대한 특정한 요구들에 대해 부합하도록 선택되어야 합니다.

어떤 특정한 요청 사항과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각 슬래이브나 노드에 처리(Processing)능력을 최대로 활용하려 한다면 모든 요소가 요구 사양보다 크게 구성됩니다. 구성 요소 간의 통신, 데이터 수집이나 프로세스 제어 등과 같은 시스템의 동작 면에서의 성능(Performance)은 만족될 수 있지만 비용 면에서는 비합리적인 결과가 도출되게 됩니다.

분산제어 시스템에서는 공장이나 공정, 설비등의 대규모화에 따른 제어 및 운전, 감시의 복잡화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제어 기능은 가능하면 분산을 꾀하면서 최적화시키고, 생산 정보는 통신망을 통하여 상위 레벨의 한곳에 집중하여 모든 정보를 갖고 판단을 용이하게 하고 있는 것이 추세이며, 

분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은 분산된 프로세스 단위의 제어라는 개념과 통합된 프로세스 관리 정보 제어라는 개념을 포함하는 일원화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분산 제어 시스템은 공정의 분산 및 최적 제어를 통한 생산성 향상은 물론, 에너지 절감, 생산 원가 절감, 인력 절감 등의 제반 효과를 얻을 수가 있습니다.

최근 약 10여년동안 중앙집중식 펄스 기반의 모션 컨트롤러은 점처적으로 분산 제어 시스템을 지향하는 통신 타입의 모션 제어와 주변 I/O, 센서 제어등의 시장에는 다양한 산업용 필드버스들이 등장했습니다.

 

각 제조사에서는 폐쇄적인 자체 필드버스를 개발하여 전용 IC 를 개발하고, 타 업체 및 고객들의 호환을 유도시키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오픈소스와 같이 구현 방법을 모두 공개한 오픈 필드버스 네트워크를 개발하는 회사들, 종래의 이더넷과 같은 호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일부 계층만으로 호환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물리 계층 위에 산업용 필드버스를 구현하는 업체들등, 여러가지 형태로 시장에 두각을 나타내었습니다.

상용 필드버스로는 프로피버스(Profibus), 파운데이션 필드버스(Foundation Fieldbus), 월드에프아이피(WorldFIP), 디바이스넷(DeviceNet), 인터버스(Interbus), 컨트롤넷(ControlNet), 피넷(P-net), 스위프트넷(SwiftNet), 서코스(SERCOS), 이더넷 아이피(Ethernet/IP), 비트버스(BITBUS), 론웍스(LonWroks), MIL-STD-1553, HART, ARCNET 등이 등장하였으며 필드버스 시장은 크게 유럽과 북아메리카로 나뉘고 그 사용되는 용도 또한 다르게 발전되어 왔으며, 자동차, 재료, 반도체, 산업기기, 프로세서 제어 등 많은 분야에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또한, 가까운 일본에서는 Pro-Face, KEYENCE, TEXAS INSTRUMENTS, YASKAWA, YOKOGAWA, NEC 등의 9개의 회사들이 주축이 되어, MECHATROLINK 라는 오픈 필드 네트워크를 소개하였는데 이는 I/O 기기, 액츄에이터등의 제어시스템을 제어하거나 제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기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일컫습니다. 

MECHATROLINK는 II 버젼과 III 버젼으로 나누어지는데, 각각 물리층이 RS-485, Ethernet 으로 METCHATROLINK-III 경우에는 최대 전송속도 100Mbps, 전송 주기는 31.25usec ~ 64msec, 최대 슬레이브 수는 62개, 최대 전송거리는 각 슬래이브 간 100m, 접속 형태는 Cascade 형/ Star 형, 멀티 슬래이브 지원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mech-introduce-01.png
mech-introduce-02.png
mech-introduce-03.png

MECHATROLINK 에 관련된 전체 일부 또는 모든 자료는 일본 MECHATORLINK 와 관련 협회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Contact Us

Thanks for submitting!

Head office.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명학산단동로 11, 119 우편번호 30067      119, 11, Myeonghaksandandong-ro, Yeondong-myeon, Sejong-si, Republic of Korea. Zip/Postal Code 30067 Design

 

Factory.대전광역시 유성구 전민동 문지로 193 우편번호 34051 193, Munji-ro, Yuseong-gu, Daejeon, Republic of Korea. Zip/Postal Code 34051

PMDCORP is a website operated by ACUSYS. For more details, please refer to www.acusys.co.kr.

Email. pmdcorp.korea@gmail.com

TEL : 042-672-2500

© 2021 by PMDCORP, Co., LTD. 

bottom of page